[공동성명서] 일본은 상업포경 중단하라

일본 상업포경 규탄 시민사회단체 공동 기자회견이 열립니다.

일시: 2019년 6월 19일 오전 11시
장소: 주한일본대사관 평화의 소녀상 앞
공동주최: 녹색당, 녹색연합, 동물권행동 카라, 동물해방물결, 시셰퍼드코리아, 핫핑크돌핀스, 환경운동연합 바다위원회

  • 일본은 돈벌이 목적의 고래사냥 철회하라!
  • 일본은 상업포경 중단하라!
  • 국제사회의 고래 보호 역행하는 일본을 규탄한다!
  1. 7개 한국 시민사회단체는 공동으로 2019년 6월 19일 오전 11시 주한일본대사관 평화의 소녀상 앞에서 일본 상업포경 규탄 기자회견을 개최합니다.
  2. 일본은 국제사회의 포경 금지에도 불구하고, 2018년 12월 국제포경위원회(IWC)를 탈퇴한데 이어, 오는 7월 1일 상업용 포경을 시작합니다. 이날 일본은 이날 홋카이도에서 5척의 포경선이 하나의 포경선단을 이뤄 ‘상업포경 재개 기념식’을 치른 뒤 바로 출항해 고래잡이에 나섭니다. 5척의 포경선들은 10월까지 큰부리고래와 밍크고래를 대상으로 사냥을 계속한다는 계획입니다.
  3. 일본은 2017∼2018 시즌 남극해에서 밍크고래 333마리를 잡았습니다. 이 숫자도 부족하다고 여겨 일본은 2018년 9월 브라질에서 열린 IWC 총회에서 상업포경 재개를 요구했으나 국제사회는 전 세계 고래류 개체수가 상업포경을 재개할만큼 충분히 회복되지 않았기 때문에 이를 불허하였습니다. 그렇다면 연간 밍크고래 333마리 포획도 부족하다고 느낀 일본이 상업포경을 재개하게 되면 연중 밍크고래를 몇 마리나 잡게 될까요?
  4. 일본이 자국의 영해와 배타적 경제수역에서 잡으려는 밍크고래는 크게 J 개체군와 O 개체군으로 분류됩니다. 이중 J 개체군은 한반도 해역을 회유하는 밍크고래로서, 국립 고래연구센터 추정 개체수가 1,600마리에 그치고 있습니다. 이 밍크고래들이 일본의 상업포경 대상이 된다면 얼마 지나지 않아 개체수가 빠른 속도로 줄어들어 멸종위기에 처할 수도 있게 될 것입니다.
  5. 이미 일본의 시장에서 유통되는 고래고기의 유전자 조사 결과 약 절반 가량은 밍크고래 J 개체군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루코첵 등의 2009년 논문 ‘일본과 한국에서의 상업용 고래 혼획의 증가(The rise of commercial ‘by?catch whaling’ in Japan and Korea, Lukoschek et al. 2009)’ 참고.
  6. 이에 녹색당, 녹색연합, 동물권행동 카라, 동물해방물결, 시셰퍼드코리아, 핫핑크돌핀스, 환경운동연합 바다위원회 등 한국 시민사회 7개 단체는 일본의 상업포경 중단을 엄중히 촉구합니다.

[공동성명서] 일본은 상업포경 중단하라

일본이 7월 1일 국제사회의 금지에도 불구하고 30년만에 상업용 고래잡이를 재개한다. 고래잡이에 관한 유일한 국제기구 국제포경위원회(IWC)는 지난 시기 과도한 포경으로 전 세계 고래 개체수가 급감하자 1982년 상업포경을 금지하기로 결정했다. 고래 보호를 위해 지구촌이 함께 힘을 모으자는 결정이었다. 그동안 일본은 이런 결정을 무시하고 과학 연구를 목적으로 내세운 사실상의 상업포경을 강행해왔다. 국제사법재판소가 2014년 일본의 포경은 과학포경이 전혀 아니며, 따라서 남극해에서 포경을 할 수 없다고 분명히 결정했음에도 불구하고 이를 정면으로 어기며 남극에서 고래잡이를 강행해왔다. 이어서 일본은 2018년 국제포경위원회 총회에서 자신들의 상업포경 재개 요구가 받아들여지지 않자 국제기구를 탈퇴하여 멋대로 상업포경을 재개하기에 이른 것이다.

국제사회가 일본의 상업포경 재개 요구를 받아들이지 않은 이유는 명확하다. 전 세계 고래류 개체수가 상업포경을 재개할만큼 충분히 회복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고래는 해양생태계의 균형을 유지하는 핵심종이기 때문에 고래 보호는 곧 해양생태계 보호와 직결된다. 그런데도 일본은 일방적으로 자신들만의 요구를 강요하면서 국제기구의 결정을 무시하는 강짜를 부리고 있다. 한국 시민사회는 일본의 상업포경 재개를 규탄하며 일본이 즉시 고래잡이를 중단할 것을 촉구한다.

일본의 상업포경 재개는 한국에게 먼나라 이야기가 아니다. 일본이 자국의 영해와 배타적 경제수역에서 잡으려는 밍크고래는 크게 J 개체군와 O 개체군으로 분류된다. 그런데 J 개체군 밍크고래는 한반도 해역을 회유하므로 이에 대한 포경은 한반도 해양생태계에 대한 직접적인 위협이 될 것이다. 한반도 해역을 회유하는 밍크고래 J 개체군은 일본 연안의 O 개체군과는 서로 나뉘어진 생태 환경에서 살아가기 때문에 독립적인 유전형질을 갖고 있으며, 세계의 다른 밍크고래와 다른 타입으로 알려져 있다. 국립 고래연구센터 조사 결과 한반도 해역의 밍크고래 개체수는 약 1,600마리에 그치고 있다. 그만큼 보호가치가 높다는 것이다.

현재 일본의 시장에서 유통되는 고래고기의 약 절반은 유전자 조사 결과 밍크고래 J 개체군으로 알려져 있다. 일본은 이미 이 고래들을 잡아오고 있었던 것이다. 이제 일본이 상업포경까지 시작하게 되면 그나마 남아 있는 한반도 해역의 J 개체군 밍크고래는 커다란 타격을 입을 것이 분명하다. 이에 한국 시민사회는 국제사회의 고래 보호 결정을 정면으로 위반한 일본의 상업포경 재개를 규탄하며, 다시 한번 일본 정부가 모든 종류의 고래잡이를 중단할 것을 강력히 촉구한다.

2019년 6월 19일
녹색당, 녹색연합, 동물권행동 카라, 동물해방물결, 시셰퍼드코리아, 핫핑크돌핀스, 환경운동연합 바다위원회

한반도 해역을 회유하는 밍크고래 J 개체군은 일본 연안의 O 개체군과는 서로 나뉘어진 생태 환경에서 살아가기 때문에 독립적인 유전형질을 갖고 있다. 출처: KBS 환경스페셜 ‘마을로 온 고래’
J개체군 밍크고래는 일본 연안의 O개체군과 서로 나뉘어진 생태 환경을 가진다. 출처: KBS 환경스페셜 ‘마을로 온 고래’
J개체군 밍크고래는 일반적인 유전적 정보가 아닌 이들만의 독립적인 유전형질을 가지게 된다. 출처: KBS 환경스페셜 ‘마을로 온 고래’
그래서 이들이 사라지게 되면 J개체군만의 유전적 정보는 더이상 관찰할 수 없게 된다. 출처: KBS 환경스페셜 ‘마을로 온 고래’
J개체군은 세계의 다른 밍크고래와 다른 타입의 고래이다. 출처: KBS 환경스페셜 ‘마을로 온 고래’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