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괭이, 남방큰돌고래, 참돌고래 공동부검에서 인간의 활동이 고래의 죽음 원인으로 밝혀졌습니다

세계자연기금(WWF), 서울대, 인하대, 제주대 등이 해양동물에 대한 민간 공동부검을 진행했고, 핫핑크돌핀스도 참관 자격으로 참여해서 부검 과정을 지켜보며 무엇이 해양동물을 죽음으로 내몰고 있는지 살펴보았습니다. 오늘 진행된 제주도 해양동물 (상괭이, 남방큰돌고래, 참돌고래) 공동부검에서 몇 가지 놀라운 사실들이 밝혀졌습니다. 모두 인간의 활동이 고래들의 죽음과 직접 관련이 있다는 것입니다. 상괭이의 경우 지난 3월 24일 제주 이호테우해변 인근에서 자망에 혼획되어 죽은 채 발견되었으며, 안타깝게도 임신한 암컷 상괭이로 출산이 임박한 상태였습니다.

이 상괭이를 부검해보니 폐 끝까지 포말이 가득 차있었습니다. 이것은 그물에 걸린 상괭이가 숨을 쉬기 위해 필사적으로 노력하다가 결국 질식사를 했다는 뜻입니다. 그리고 뱃속에서는 거의 완전한 형태의 새끼 상괭이도 나왔습니다. 출산을 바로 앞둔 상괭이가 먹이를 먹다가 그물에 걸린채 빠져나오지 못하고 죽은 것입니다. 상괭이 몸에서는 기생충도 많이 발견되었는데, 보통 오염된 지역에서 기생충이 많다고 합니다.

그물에 걸려 죽은 어미 상괭이의 태반 안에서 출산을 바로 앞두고 죽은 새끼 상괭이도 발견됐습니다.

자망은 해양동물이 지나가는 길목 한가운데를 막고 쳐집니다. 거기엔 물고기만 걸리는 것이 아니라 돌고래와 상어, 바다거북도 걸려듭니다. 인간처럼 폐호흡을 하는 돌고래들은 수중에 설치된 유자망에 걸릴 경우 생존가능성이 없고 숨을 쉬지 못해 고통스럽게 질식사합니다. 정치망이라면 숨을 쉬러 올라올 수 있지만 자망에 걸리면 발버둥치다가 온몸이 그물에 칭칭 감겨버린채 물 속에서 움직일 수 없게 되기 때문입니다.

남방큰돌고래는 미성숙 수컷 개체였으며, 지난 6월 29일 서귀포 남원 앞바다에서 유자망 어업으로 혼획되어 죽은 채 발견되었습니다. 부검을 해보니 식도에서부터 위까지 오징어류, 참꼴뚜기(한치), 어류 등이 가득했습니다. 이것은 죽기 직전까지 활발하게 먹이활동을 했다는 뜻입니다. 이 남방큰돌고래는 건강했고 식욕도 활발했으나, 역시 그물에 걸려 죽고 말았습니다. 기관지를 보니 포말이 가득 차있었습니다.

남방큰돌고래의 식도와 위에서 오징어류가 발견되었습니다.

보통 동해안에서 주로 발견되는 참돌고래가 제주 지역에서 발견된 것은 아마도 먹이를 따라온 것으로 추정됩니다. 이 참돌고래는 2019년 11월 22일 새벽 제주항으로 들어온 개체로서, 목 뒤부터 등까지 충격에 의한 출혈이 발견되었습니다. 참돌고래의 등에 커다란 멍이 들었고 피하출혈도 있었는데, 무엇인가 센 것에 부딪힌 것으로 보입니다. 아마도 선박충돌이 아닐까 추정합니다. 선박충돌이 직접 사인인지 아닌지는 조직검사 등 좀더 정확한 검사를 해봐야 하겠지만, 돌고래가 선박과 충돌한 자국이 선명하게 보였습니다.

제주 지역에서 죽은 채 발견된 고래류 일부를 부검해봐도 이런 다양한 사실을 알 수 있습니다. 현재는 해양보호생물 고래류가 죽은채 발견되어도 현장에서 부검을 진행할 예산과 인력이 너무나 부족한 상황입니다. 그래서 제대로 사인을 밝히지 못하게 되고, 해양동물을 위협하는 요소들은 그대로 남아있습니다.

너무나 많은 그물과 이에 따른 혼획으로 한반도 해역에서만 매년 2천 마리 가량의 고래류가 죽어가고 있습니다. 선박 충돌과 해양오염 역시 이들을 위협하는 요인입니다. 오래 전부터 바다를 터전으로 살아온 해양동물들에게 인간은 점점 공공의 적이 되어가고 있는 것은 아닐까요?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