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년 야생방류된 제주 남방큰돌고래 태산이 사망 추정

▲남방큰돌고래 태산이의 등지느러미 부분을 확대해 자세히 보면 조그만 구멍이 보이는데, 2015년 야생방류 당시 등에 부착한 GPS 위성추적장치가 떨어져나간 자국이다. 2021년 2월 22일 서귀포시 대정읍 앞바다에서 핫핑크돌핀스 촬영.

2015년 방류된 남방큰돌고래 태산이가 죽었다는 소식이 전해졌습니다. 지난 6월 25일 서귀포시 성산읍 고성리 앞바다에서 죽은 남방큰돌고래 사체가 발견되었는데, 등지느러미로 보아 태산이로 보입니다. 현재 정확한 사인을 밝히는 부검과 조직검사 결과가 나오기를 기다리고 있는데, 자연사로 추정된다고 합니다.

핫핑크돌핀스는 올해 3~4월 즈음에 태산이가 제주 남방큰돌고래 무리와 함께 있는 모습을 확인했고, ‘태산이가 잘 지내고 있구나’ 안심하고 있었는데, 안타깝게도 6월에 죽은채 발견되었다고 하네요. 태산이는 올해 27살로 추정됩니다.

▲2020년 5월 20일 제주 서귀포시 대정읍 앞바다에서 핫핑크돌핀스가 촬영한 태산이.
▲2015년 방류된 제주 남방큰돌고래 태산이가 2021년 1월 21일 서귀포시 대정읍 앞바다에서 광어를 던지며 노는 모습을 핫핑크돌핀스가 촬영했다.
▲핫핑크돌핀스가 2020년 5월 20일 촬영한 사진 원본에서 태산이의 등지느러미 부분을 확대한 모습
▲핫핑크돌핀스가 2020년 5월 20일 촬영한 사진 원본에서 태산이의 등지느러미 부분을 확대한 모습
▲제주대학교 김병엽 교수를 통해 얻은 태산이 추정 사체의 등지느러미 부분. 2022년 6월 25일 서귀포시 성산읍 고성리 발견. 사진 출처 = 제주대학교 김병엽 교수
▲2021년 1월 21일 서귀포시 대정읍 앞바다에서 핫핑크돌핀스가 촬영한 태산이
▲제주대학교 김병엽 교수를 통해 얻은 태산이 추정 사체의 등지느러미 부분. 2022년 6월 25일 서귀포시 성산읍 고성리 발견. 사진 출처 = 제주대학교 김병엽 교수

*제주 남방큰돌고래 태산이가 야생 돌고래 무리들과 어울려 활발하게 먹이활동을 하며 지내는 사진들 원본 파일 내려받기 https://drive.google.com/drive/folders/1o5JlRyS2BFMcDqL34KDvIPnhXdoAQSRm?usp=sharing  


*핫핑크돌핀스가 촬영한 제주 남방큰돌고래 태산이 동영상 원본 파일 내려받기

1. 2021년 1월 21일 서귀포시 대정읍 앞바다에서 야생 남방큰돌고래 무리들과 활발하게 먹이활동을 하는 태산이 https://drive.google.com/file/d/1tTojPcjVwhf6PKs-3hRINGi7K6lieawB/view?usp=sharing

2. 야생방류를 위해 2015년 5월 14일 제주 함덕항 가두리로 이송되는 태산이 https://drive.google.com/file/d/1F28IuRsNtKv0E3EnypzHKdnQ68pdyLW6/view?usp=sharing


*관련 뉴스 [연합뉴스] 2015년 방류된 남방큰돌고래 태산이 ‘폐사’…”자연사 추정” https://www.yna.co.kr/view/AKR20220810036900003

지난 2015년 제주 함덕 앞바다에 방류된 남방큰돌고래 태산이가 최근 폐사한 것으로 확인됐다. 10일 해양수산부 관계자는 연합뉴스에 “지난 6월 태산이 추정 개체가 서귀포시 성산읍 고성리 앞바다에서 죽은 채 발견됐다”며 “등지느러미를 볼 때 태산이라고 거의 확실시하고 있으며 사인 확인을 위해 부검과 조직 검사를 진행했다”고 밝혔다.

남방큰돌고래들의 등지느러미는 사람의 지문처럼 모양새가 다 다르기 때문에 개체 확인을 위해 사용한다. 해수부는 포획 등 외부 흔적이 없는 점을 볼 때 태산이가 자연사했을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수컷 남방큰돌고래인 태산이는 2015년 7월 6일 암컷 남방큰돌고래 복순이와 함께 제주 함덕 바다에 방류됐다. 당시 추정 나이는 태산이가 20살, 복순이가 17살이었다. 두 돌고래는 2009년 제주에서 잡힌 뒤 제주 퍼시픽랜드 돌고래쇼에 동원됐다. 태산이는 윗부리가 잘렸고 복순이는 원래 입이 뒤틀리는 장애가 있다.

해수부 관계자는 “국립수산과학원 고래연구소가 분기마다 모니터링을 나가는 데 지난 1분기까지 태산이가 관찰됐다”며 “오는 3분기(9월께) 모니터링에서 태산이가 육안관찰이 되지 않는다면 폐사가 확실시된다”고 말했다.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